728x90 반응형 한국사노트4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영주 부석사 기본정보 유형 : 유적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사찰 건립 시기·연도 : 676년(문무왕 16) 2월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건립과 설화 676년 문무왕때 의상(義湘)이 왕명으로 창건한 뒤 화엄종의 중심 사찰로 삼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이 절의 창건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로 불교를 배우기 위하여 신라를 떠난 의상은 상선을 타고 등주 해안에 도착하였는데, 그곳에서 어느 신도의 집에 며칠을 머무르게 되었다. 그 집의 딸 선묘는 의상을 사모하여 결혼을 청하였으나, 의상은 오히려 선묘를 감화시켜 보리심을 발하게 하였다. 선묘는 그때 “영원히 스님의 제자가 되어 스님의 공부와 교화와 불사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어드리겠다.”는 원을 세웠다. 의상은 중난산에 있는 지엄을 찾아.. 2022. 5. 14. [대한민국 국보] 신라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란? 진흥왕은 가야와 한강 유역의 땅을 차지하고 함경도까지 진출하는 등 신라의 영토를 넓히고 삼국을 통일하는 기초를 닦은 왕이다. 임금이 나라 안을 두루 살피며 돌아다니던 일을 ‘순수’라고 하는데, 진흥왕은 새롭게 신라 땅이 된 지역을 순수한 뒤 기념 비석을 세웠다. 그것이 바로 진흥왕 순수비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진흥왕 순수비는 모두 4개이다. 서울의 북한산 비봉 정상에 세워진 북한산비, 경상남도 화왕산에 있던 창녕비, 함경남도 장진 군 황초령에 세워진 황초령비, 함경남도 이원군 마운령에 세워진 마운령비 등이다. 진흥왕 순수비 4개가 모두 높고 가파른 산이자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세워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북한산비 서울 북한산 비봉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비석이 닳고 상하는 것을 .. 2022. 5. 8. [대한민국 국보] 원각사지 십층석탑 기본정보 유형 : 유적 시대 :조선 성격 :불탑 건립 시기·연도 : 조선시대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종로 2가)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건립과 역사 원각사는 원래 고려시대에 창건된 흥복사로,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요청으로 세조 11년(1465)에 원각사로 고쳐 지은 절이다.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연산군 10년(1504)에 연방원이라는 기생방이 들어서고 중종 9년(1514)에 절이 헐리면서 없어졌다. 원각사지 십층탑은 조선 세조 13년, 1467년에 세조의 왕명으로 원각사가 지어질 때 함께 건조된 석탑이다. 조선 후기에는 흰 돌로 지은 탑이라 하여 백탑(白塔)이라고 불렸으며, 박지원이 이 근처에서 살았던 적이 있어 그와 .. 2022. 5. 7. [대한민국 국보] 서울 숭례문 기본 정보 이칭 별칭 : 남대문 유형 : 유적 시대 : 조선 성격 : 성곽문 건립 시기·연도 : 1398년(태조 7) 규모(면적) : 1동(177.8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40(남대문로 4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문화재청 숭례문관리소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숭례문의 건립 숭례문은 조선시대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일명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하는데, 서울 도성의 사대문 가운데 남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396년(태조 5) 축조된 서울도성의 정문으로, 1398년(태조 7) 2월에 준공되었다. 그 뒤 1448년(세종 29) 개수공사가 완료되었으며, 1961년부터 1962년 사이에 실시된 해체수리 때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에서 1479년.. 2022. 5. 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